근육 좌상 발생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근육 좌상을 예방하려면 제대로 운동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준비운동으로 몸을 충분히 풀기처럼 조금만 주의하면 부상을 피할 수 있다.
근육 좌상 발생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마지막 업데이트: 23 6월, 2020

근육 좌상은 운동하는 사람들이 흔히 겪는 근육 조직 손상이다. 근육 좌상 증상은 근육에 피로가 쌓일수록 악화하므로 몸을 많이 움직이는 사람이라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우리 몸이 움직이려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은 필수이며 어떤 운동을 하든 근육 수축과 이완이 반복돼야만 근력을 키울 수 있다.

활동으로 인한 근육 좌상

정상적으로 익숙한 동작을 했는데도 근육 좌상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에서 근육 좌상의 다양한 원인을 알아보자.

부담스러운 운동 강도

몸이 견딜 수 없을 만큼 운동하면 근육 좌상이 발생한다. 근육은 시간과 노력에 비례하여 튼튼해지는데 갑작스럽게 근육에 무리를 주면 근섬유가 파열될 수밖에 없다.

지연 발생 근육통(DOMS)을 생각해보자. 지연 발생 근육통은 익숙지 못한 동작으로 근육이 불편한 증상을 말하는데 갑자기 무거운 가구를 옮겼을 때나 몇 년 만에 조기 축구회 활동을 다시 시작한 사람들이 근육 통증에 시달리는 등의 상태가 좋은 예다.

몸을 충분히 푼 상태에서도 운동 강도에 따라 특정 근육이 파열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격렬한 운동일수록 몸을 최대한으로 풀고 시작하는 것이 안전하다.

활동으로 인한 근육 좌상

또 최근에 다쳤던 근육도 좌상이 생기기 쉬우니 조심하자. 몇 주 또는 몇 달간 제대로 쓰지 못했던 근육을 다시 정상적으로 수축하게 만들려면 차근차근 재활 훈련을 해야 한다.

너무 긴 운동 시간

근육 좌상의 또 다른 원인은 근육에 무리가 가도록 너무 긴 시간 운동하는 것이다. 근육이 손상되거나 파열되는 상태를 피하려면 조금씩 운동 시간과 강도를 늘리면서 근육을 적응시킬 필요가 있다.

근육 불균형

우리 근육은 사지 관절을 구부리고 펼 때 주도권을 쥐는 근군인 주동근과 그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근육인 길항근이 있는데 이 두 근육이 균형적으로 움직여만 부상 없이 운동할 수 있다.

주동근이 길항근보다 강하면 길항근이 주동근의 힘을 따라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이완하여 근조직이 파열될 수 있다.

준비운동 부족

말 그대로 준비운동이 부족하여 근육이 운동에 대비하지 못하여 근육 좌상이 발생한다. 운동하기 전에 충분히 몸을 풀지 않으면 근조직이 파열할 수 있는 확률이 훨씬 높아진다.

외적 요인에 의한 근육 좌상

휴식 부족

운동 후 근육이 회복될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거나 휴식 없이 연속으로 격렬한 운동을 계속하면 근육이 찢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외적 요인에 의한 근육 좌상

부적합한 기구 사용

부적합한 운동 기구 사용 역시 부상의 원인이다. 부적합한 운동 기구는 불량품이거나 심하게 낡고 몸에 비정상적인 부담을 주는 기구를 말한다.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하는 운동 기구는 근육 좌상 같은 문제를 유발할 뿐이다.

영양 부족

영양분을 적당히 섭취하지 않으면 근섬유가 약해지고 반복된 수축 운동을 견디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기타 근육 좌상 원인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당뇨병 같은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근육 좌상을 특히 조심해야 한다.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기면 근육까지 충분한 영양분이 전달될 수 없어서 근조직이 약화한다.

날씨도 근육 좌상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다. 날씨가 춥고 습하면 준비운동을 해도 몸이 잘 풀리지 않고 유연성이 떨어지므로 주의하자.

근육 좌상 예방법

앞서 언급했듯이 근육 좌상을 피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충분히 몸을 풀고 갑자기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기다. 꾸준히 운동하면서 잘 먹고 숙면하고 적합한 운동 기구 사용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F. Ruiz. Estudio nutricional en futbolistas. Tesis doctoral en la Universidad del País Vasco, 2006.
  • J-L. Croisier, J-M. Crielaard. Hamstring muscle tear with recurrent complaints: An isokinetic profile. Isokinetics and Exercise Science, vol. 8, no. 3, pp. 175-180, 2000
  • M. Friedman, J. Stensby, T. Hillen, et al. Traumatic Tear of the Latissimus Dorsi Myotendinous Junction: Case Report of a CrossFit-Related Injury. Sports Health. Vol 7, Issue 6, 201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